<블랙 콤보카드 커스터 마이징에서 등장하는 스킬 목록>
현재 시점(2022.12.15) 가장 많이 사용 할 만한 격투 콤보 카드를 만드는 것을 예시로 들겠습니다.
1. 각 연속기가 어느 구간에 등장하는지 먼저 확인 합니다.
상단에 그림과 같이 특정 구간에 등장하는 스킬이 별도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포인트를 사용하기 전 구간에 넣을 스킬 배치를 구상해 두고 만들어야 합니다.
망하는 예시 : “왜 3콤에 드롭킥 안뜨죠?” “5콤에 대쉬펀치가 안떠요”
2. 각 콤보 별 최대 한계 돌파 배율 계산하기
블랙 콤보카드에서는 일반 콤보카드 커스터 마이징에서는 나오지 않는 배율이 나옵니다.
한계돌파 배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각 구간 별 배율을 여섯번째 부터 역으로 계산하여 최대 몇 퍼센트의 배율을 만들 수 있는지 계산 하여야 합니다.
이때 주의사항은 첫번째 두번째 스킬은 한계 돌파가 되지 않으므로 해당 자리에 승단 뱃지로 넣을 수 있는 스킬을 배치 할 계획 이라면
포인트를 낭비하지 않도록 합시다.
3. 시작부터 포인트 사용 or 이벤트 마무리에 포인트 사용
최대 포인트가 얼마나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벤트 기간 동안 포인트를 저축해서 마지막 날 조율을 하는 것이 이상적 입니다.
하지만 사람 일이 어찌 될지 알 수 없고 피치 못할 사정 또는 이벤트 시기를 착각해 완성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보수적 마음가짐으로 종말(?)이 다가올 적당한 시점에서 콤보 카드를 완성 하도록 합시다.
누구 처럼 완성 못하고 이벤트가 지나가서 통곡해도 소용 없습니다.
4. 제작 계획 수립
격투의 꽃은 드랍킼ㅋㅋ 이라고 생각합니다.
네번째와 여섯번째에 드랍킥을 넣어 너클 뽕을 뽑는 카드를 만들 어 보도록 합시다.
먼저 포인트를 사용하여 스킬칸을 모두 개방하도록 합니다.
1순위는 배율이 아닌 스킬을 먼저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합시다.
배율을 아무리 잘 뽑아도 원하는 스킬이 아니라면 똥이니까요
스킬을 배치한 뒤에는 배율을 조정할 차례 입니다.
보너스 리셋 버튼을 이용하여
5~6 구간의 차가 30%가 되도록
3~4 구간의 차가 15%가 되도록
포인트를 사용해 반복합시다.
다만 위의 배율을 최대 수치이기 때문에 포인트와 일정을 고려하여 타협할 필요도 있습니다.
뜨면 좋겠지만 난 안될거야 아마..
여기까지만 완성해도 거의 성공 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공정은 세번째칸에 스크류어퍼를 넣어봅시다.
스킬을 성공적으로 넣었다면
2~3구간의 차가 12%가 되도록 리셋을 합니다.
축하드립니다. 목표 달성 입니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첫번째 두번째는 한계돌파가 없고 다섯번째는 드롭킥/파운딩 만 나오기 때문에
승단 뱃지로 마무리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다섯번째는 승단 뱃지로 한계돌파가 가능하며 최대 20%)
승단뱃지로 돌린다면 다섯번째에는 대쉬펀치 또는 스크류어퍼가 들어갈텐데
대쉬펀치는 현재 모든 구간에 같은 대쉬펀치가 없기 때문에 최소 승단뱃지가 들어가게 됩니다.
개이득
저렇게 완성했을 경우 4단계까지 완성 시 80% 6단계까지 완성 시 82% 콤보카드가 나오게 됩니다.
또한 이벤트가 끝나고 목표가 생기게 되는데
다섯번째를 승단 뱃지를 슬슬 돌리면서 한계돌파를 노리는 자체 퀘스트를 수행하시면
최종 87%라는 종결 콤보카드 오우너가 되실 수 있습니다.
5. 단일 스킬로 콤보카드 제작
단일 스킬은 복잡하지 않습니다.
여섯번째(마지막콤보)부터 원하는 스킬 뽑고 배율을 조정.
6->3 까지 내림차순으로 제작 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승단 뱃지를 사용 할 수 없는 스킬(애로우 리볼버라던가..) 이라면
포인트의 압박이 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콤 정도로 목표를 잡는 다던지
적당한 타협이 필요 합니다.
모두 포인트를 낭비하는 일 없이 성공적으로 콤보 카드를 완성 하시길 바라겠습니다.